티스토리 뷰
오늘 블로그에서는 lg u플러스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연결 방법에 대해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코로나 덕을 본 업종 중 대표적인것이 OTT서비스 업체들이죠.
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자연스럽게 TV시청이 늘어나는 현상이 생겼습니다.
취미가 딱히 없는 사람들은 대부분 여가시간에 TV시청 하면서 보내는 것 같더라고요, 저도 그렇고요.
그래서 오늘 포스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.
lg u플러스 신청하면 이 안에서 OTT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게 지원하는걸까요?
이것부터 명확히 아셔야 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.
lg u+ 서비스 안에 자체 다시보기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이건 SK, KT도 마찬가지에요.
여기서 OTT 서비스를 볼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.
그렇다면 어떻게 봐야되나요?
현재 이용중인 TV가 스마트TV라면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이부분 때문에 LG, KT, SK에서 지원하고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거에요.
이건 여기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TV 자체에서 제공하는 거에요. 이제 개념이 조금 이해되시나요?
집에 TV가 스마트TV라면 넷플릭스, 티빙 등 서비스 가입하고 이용하면 됩니다.
우리집은 스마트TV가 아닌데 어떻게 연결하나요?
이렇게 질문하시는 분들 많을텐데요, 여기에 대해서도 설명드리도록 할께요~
첫번째, 스마트폰 화면이 TV로 나올 수 있게 연결해 준다.
이 방법을 가장 많은 분들이 이용할꺼에요. 이렇게 되면 TV보는 동안 스마트폰 이용을 할 수 없습니다.
저는 이 방법을 추천하지는 않아요. 집에 놀고있는 스마트폰이 있다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합니다.
두번째, 일반TV를 스마트TV로 만들어 준다.
제가 선호하는 방법은 이것입니다.
샤오미에서 나온 제품 있어요, 제품명은 따로 말하지 않을게요.
이 기기를 TV에 연결하면 일반TV를 스마트TV로 만들수 있어요.
이렇게 만들어준 후 OTT 서비스를 받아서 사용하면 되겠죠?^^
우리집 TV가 스마트TV가 아닌데 OTT 서비스 이용하려면 TV를 바꿔야 될까요?
그러지 않아도 됩니다. 이유는 위에 설명드렸죠.
알고나면 별거 아닌데 모를때는 참 어려워요.
TV연결해서 보는것도 해보면 너무 쉽습니다.
예전에나 잘 안되고 힘들었지 요즘은 너무 잘 돼요.
방법이 다 있으니 혼자 머리 쥐어짜지 말고 관련 정보 찾아보고 해보세요.
준비한 정보는 모두 알려드렸습니다. 저는 여기서 인사드릴게요.